복지 정보는 복지로 하나만 보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복지로에 나오지 않거나, **지자체나 다른 기관에서만 운영하는 숨겨진 혜택**도 많습니다. 정부는 매년 수백 개의 복지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그 모든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복지로 외에도 알아두면 진짜 ‘돈 되는’ 복지 정보 사이트 5곳을 소개해드립니다.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실제 현금 지원·감면 혜택·무료 서비스로 연결되는 실용적인 사이트** 위주로 골랐습니다.
1. 복지로 (www.bokjiro.go.kr)
물론 복지로는 기본입니다. 전국민 복지 검색 플랫폼으로, 모든 중앙부처와 지자체 복지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통합 포털입니다.
-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가능
- 온라인 신청, 상담 예약, 정책 찾기 기능 제공
- 특히 긴급복지,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관련 정보에 강함
하지만 신규 정책이나 지역 한정 혜택은 반영 속도가 느린 경우가 있으므로, 복지로만 믿고 지나치면 놓치는 정보도 많습니다.
2. 전국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서울시·경기도·부산시청 등)
많은 복지정책은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부에서 자체 예산으로 운영합니다. 서울시, 경기도, 부산시청 등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는 지역 한정 월세 지원, 의료비, 청년수당, 에너지 감면제도 등이 다양하게 올라옵니다.
- 서울시복지포털 – wis.seoul.go.kr
- 경기도복지플랫폼 – gg.go.kr
- 부산시청 복지 페이지 – busan.go.kr
복지로에 없는 한정 예산형 복지 정책(선착순, 시범사업 등)이 많으니 내가 사는 지역 홈페이지는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국민신문고 생활정보 알림
국민신문고는 민원만 처리하는 곳이 아닙니다. 여기에는 **정책 알림, 복지 서비스 변경 안내, 새로운 지원금 공고**까지 뜨기 때문에 정부 사이트 중 가장 빠르게 복지제도 변화를 캐치할 수 있는 곳입니다.
- 홈페이지 – epeople.go.kr
- ‘생활정보 알림’, ‘정책뉴스’, ‘복지 핫이슈’ 섹션 활용
‘이런 정책 생긴 줄도 몰랐다’는 분들 대부분이 이 사이트를 안 봐서 놓친 경우입니다.
4. 생애주기별 복지 누리집 – 정부24
정부24는 단순 서류 발급 서비스로 알고 있지만, 생애주기별(청년, 노인, 장애인 등) 복지혜택을 모아서 보여주는 페이지가 따로 있습니다.
- 정부24 복지 코너 – www.gov.kr
- ‘복지혜택 알아보기’ → 생애주기/대상별 클릭
특히 **장애인·다문화가정·군인가족·한부모 등 특수계층**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해두어서 검색이 쉽습니다.
5. 복지상담 콜센터 129 & 카카오톡 챗봇
온라인보다 사람에게 직접 물어보는 게 빠른 경우도 많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129 콜센터는 전국 어디서든 무료로 상담받을 수 있고, 최근에는 카카오톡 챗봇까지 도입되어 **24시간 자동 상담도 가능**합니다.
- 전화: 129 (유선 무료)
- 카카오톡: 복지로 채널 검색 → ‘상담 챗봇’
특히 “내가 지금 받을 수 있는 게 뭔지 몰라서” 신청을 못 하는 경우엔 129에 전화해서 설명만 해도, 상담원이 **맞춤 혜택을 추천**해줍니다.
복지 정보를 찾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복지로’ 하나만 보는 게 아니라, 복지로를 포함한 다양한 공공사이트를 같이 활용하는 것입니다. 중앙정부는 큰 틀의 정책을, 지자체는 생활 밀착형 혜택을 운영하기 때문에 두 가지를 모두 챙겨야 실제 ‘돈 되는 정보’를 놓치지 않습니다.
정보는 신청하는 사람의 것이고, 복지는 찾아보는 사람에게만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한 5가지 사이트를 즐겨찾기 해두고, 한 달에 한 번만 확인해도, 최소 수십만 원 이상의 혜택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